준비중인 논문에 마지막으로 들어가면 좋겠다 상상했던 그림을 만들어보려고 거의 두 주 동안 엎치락 뒤치락 하다가 이래서는 스스로 정한 마감일을 넘기겠구나 싶어서 다시 글쓰기로 돌아왔습니다. 하지만 머리를 비우기가 어려워서 쓰다가 계속 멈칫거리게 되네요. 그래서 다시 책을 집어들었습니다. 논문 작성과 관련된 다른 책과 함께 사서 이것은 꽃아만 두었다가 오늘 펴봤습니다. (어디서 일 못하는 애들 특징 얘기할 때 비슷한 행동을 들었던것 같기는 한데 뭐라도 쓰지 않으면 계속 불안하니 마중물 느낌으로…)

글이 좋네요. 이런 종류의 책은 내용 좋아도 글빨이 안따라줘서 잘 안읽히는 것도 많았단 말이죠. 외부에서 자료를 끌어다 쓰면서도 논문투가 아니라 본인의 느낌 속에 잘 녹여내신것 같습니다. 여기에는 논문작성법에 대한 이야기도 잠깐 나오지만 그것이 주제는 아니고요, 연구자에게 논문은 어떤 의미인지 그리고 성과로서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논문이라는 것에 대해서 사람들이 잘 몰랐던 지난 이야기들이 주된 내용입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부분은 연구가 논문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저자의 경험담을 섞어서 쓴 대목입니다. 책의 앞 부분과 뒷 부분(특히 15장)에 나옵니다. 연구책임자급이 아니라면 대부분 위에서 준 주제를 놓고 연구하는 일이 본인 업무에서 가장 클텐데요, 처음에는 연구한 결과를 논문으로 만드는게 감이 잘 안잡힙니다. 저는 지금도 어렵습니다. 그래서 다른 분들도 어려워 한다니 위안이 된 것 같네요. 어려운 이유는 연구 내용을 그대로 정리한 보고서 형식의 글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여기저기서 주운 헝겊들을 다 풀어서 실오라기를 다시 한 줄기로 묶고 새로 직조한 천으로 옷을 한 벌 만드는 느낌입니다. 연구책임자가 이제 '정리'해서 논문을 내자고 했을 때 이런 과정을 이해하지 못하고 보고서처럼 정리를 해버리면 버림받고 맙니다.

 

주변 분들에게 주저자로 첫 논문을 어떻게 썼는지 종종 물어봅니다. 그림 빼고 글은 거의 다 지도교수님이 다시 쓰다시피 했다는 분도 있고, 그래도 방법이나 결과 부분은 본인이 쓴 내용이 많이 살아남았다고 하는 분도 있었습니다. 대체로 자력으로 쓰기는 어려웠다는 경험이었어요. 곱든 밉든 그래도 봐줄 사람이 있을 때 연습을 많이 해보는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이게 글쓰기 기법과는 또 다른거라서 글을 잘 쓴다는 분들도 어려움을 겪더라고요. 오히려 평소에 다른 글은 잘 못쓰는데 논문은 후루룩 내는 분도 봅니다. 논문에서 글맛은 우선순위가 아니라는 말입니다.

 

"과학자가 되는 방법"(남궁석 지음)은 이공계 대학원에 들어가기 전에 보면 좋을 책으로 추천하는데, 이 책은 입학 후 고군분투하고 있을 대학원생과 논문은 쓰고 싶은데 감이 안잡히는 분들에게 추천하고 싶습니다. 내 문제를 해결해줄 정리된 원리나 법칙보다 비슷한 문제에 대해서 남의 고민을 듣는게 더 도움이 되는 경우도 있더라고요. 저는 의생명 분야와 거리가 멀지만 분명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논문을 잘 쓰려면 많이 읽어보라는 조언을 자주 들었다. 수적으로 많이 읽기 보다 비평적으로 읽는 훈련이 중요할 것이다. 하지만 너무 몰입하면 비평 능력만 비대칭으로 향상될 수 있다. 일종의 주화입마에 빠지는 것이다. 주제도 모르면서 화만 많고 입만 살아서 마무리를 못한다. 적당히 읽고 뭐라도 쓰지 않으면 보는 힘을 기르는 방향으로 선순환이 일어나기 어렵다.

올 해 나온 "지리의 쓸모"란 책에 대해 좋은 말이 많아서 읽어보았다. 읽기 전에는 '교실 밖 지리여행' 같은 책과 무엇이 다를까 궁금했고, 읽고 나서는 다소 아쉬운 마음이 들었다. 이 책에서 쓸모 있다고 말하는 지리는 지리적 사고력을 의미하는 것 같다. 책에서 정의하는 지리적 사고력은 지리 정보를 읽고 해석하는 능력이다. 이를 통해서 현재의 상태를 이해하고 미래를 예측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근거가 약한 주장은 받아들이기 어렵다. 쓸모가 있다는 것은 활용가치가 있다는 말인데, 이 책에서는 여러 주제들에 대해서 지리적으로 해석하는 것을 보여주기는 하지만 활용으로 연결되는 부분은 뚜렷하게 전달되지 못했다. 쓸모를 이야기 할 때 지리가 의미하는게 지리적 사고력 한가지로 집중되지 못한 것이 하나의 이유라고 생각한다. 지리는 정보인가, 그 것을 전달하는 체계인가, 학문 분야인가, 아니면 하나의 사고개념인가. 이 책에서 지리의 정의를 논하길 기대하지는 않았다. 다만 서두에서 말한 지리적 사고력이란 키워드에 집중했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무엇이 더 중요하다는 말이 아니라 책의 방향이 뚜렷했으면 좋았겠다는 말이다.

 

그런 의미에서 위치와 영역 챕터는 가장 돋보였다. 지리적 사고의 틀로서 위치와 영역 개념을 설명하였고, 이를 통해 여러 현상을 해석하는 것으로 주제를 확장하기 위한 서론으로서 훌륭해보였다. 여기서도 굳이 아쉬운 점을 꼽자면, 영역을 영토라는 좁은 의미로 해석했다는 정도다. 이로서 공간상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지역이라는 덩어리로 묶어서 사고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내용들이 책 뒷부분에서 더 힘을 받지 못한 것 같아 아쉽다. 하지만 이 두 챕터 만으로도 이 책을 읽을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내가 생각하는 이 책의 쓸모다.

 

저자분들이 원하는 책의 목적은 무엇이었을까. 지리 덕후를 위해 심층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책, 중고교 학생들을 위해 교과서를 보충하는 교양서, 정의가 무엇이든 지리가 쓸모있다고 주장하기 위한 책, 아마도 모두를 원한 것으로 보이지만 목적이 달성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책의  쓸모는 독자가 정하기 마련이지만, 조금 다른 '교실 밖 지리여행' 스타일의 책을 원하는 분들은 읽어보시길 권한다.

 

 

GrADS 인터프리터는 어떤 명령줄을 넣고 엔터를 치는 순간에 내부 명령/함수로 존재하는지 아니면 입력된 것과 동일한 이름을 가진 스크립트 파일이 존재하는지 찾습니다. 이 글에서는 스크립트 파일들을 넣어둔 디렉토리를 정의하는 방법과 관련해서 간단히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사용자가 스크립트 형태로 작성해둔 파일은 GrADS 인터프리터에서 명령어(*.gs)나 함수(*.gsf)로 사용할 수 있는데요, 대부분 사용자들은 GASCRP 쉘 환경변수를 설정해서 정의하고 있을겁니다. 스크립트 파일이 /opt/grads/script에 있고 bash를 사용하고 있다면 다음과 같이 정의하겠죠.

export GASCRP=/opt/grads/script

그리고 시스템 관리자가 미리 넣어둔 스크립트들 외에 본인이 파일을 더 추가하고 싶을 때, 많은 분들이 기존 스크립트를 전부 복사해서 본인 홈디렉토리에 넣고 환경변수를 다시 설정한 다음 본인이 원하는 파일을 추가해서 사용하시더라고요. 이런 식으로요.

cp /opt/grads/script/*.* /home/user/opt/grads/script/
export GASCRP=/home/user/opt/grads/script
cp new_thing.gs /home/user/opt/grads/script/

하지만 이렇게 하다보면 불편한 점이 있습니다. 시스템관리자가 스크립트 파일을 업데이트하는 경우 사용자의 환경에서는 반영되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 또한 복사하는 과정에서 스크립트 파일 이름이 동일한 경우에는 덮어써지거나 복사가 안되서 어느 한 쪽이 동작되지 않는 문제도 있습니다. 그리고 한 디렉토리에 수 십개 이상 스크립트 파일이 쌓이게 되면 관리하기 불편하죠. 그래서 여러개의 스크립트 디렉토리를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두면 좋습니다. (쉘에서 PATH 설정하는 형식과는 조금 다릅니다.) 다음과 같이 환경변수를 설정하면 됩니다.

export GASCRP=“/opt/grads/script /home/user/opt/grads/script”

이렇게 하면 동시에 여러 스크립트 디렉토리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인터프리터에서 스크립트 파일을 찾는 순서는 빈칸으로 구분된 디렉토리 리스트의 맨 앞부터이기 때문에 위의 예시에서 동일한 이름의 스크립트 파일이 두 디렉토리 모두에 들어있다면 /opt/grads/script에 있는 것을 불러오개 됩니다. 이것은 읽기 권한만 있고 쓰기 권한이 없는 스크립트중 일부만 개인적으로 수정해서 사용하고 싶을 때도 이용할 수 있겠죠.

cp /opt/grads/script/something.gs /home/user/opt/grads/script/
vi /home/user/opt/grads/script/something.gs
export GASCRP=“/home/user/opt/grads/script /opt/grads/script”

이렇게 하면 내가 변경한 something.gs 파일을 우선 불러오게 됩니다. 필요 없어지거나 다시 원래 스크립트를 사용하고 싶을 때는 수정한 파일만 삭제하면 됩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이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코로나19 백신 예약 시스템이 불안정하다는 뉴스와 함께 정부 전산망을 클라우드로 이전한다는 이야기가 종종 들립니다. 사실 이 이야기는 수 년 전부터 이어져왔고, 지난 신문기사를 보면 최근 2~3년에서야 실제적인 진전이 있었던것 같습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수 년간 투자를 더 한다는 소식도 보이네요.

결과를 예단하기는 어렵습니다만, 일반 사무용 PC에 오픈소스 OS를 도입하겠다는 계획보다는 현실성 있어 보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무래도 선례가 중요한데, 미국 등지에서 보안에 민감한 기관들도 클라우드로 전환한다는 말이 계속 들리니까요. 여러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 좋겠습니다. SI쪽에서 정부 과제 하는 실무자 분들은 오히려 싫어할지도 모르겠지만요.

우리는 코로나19 때문에 새로운 일상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의 생활 패턴이 바뀌었고 마스크는 평상복이 되었습니다. 코로나19가 우리 삶을 불편하게 만들었고, 불편함을 감내하지 않으면 위협으로 다가오기도 합니다.

이전에는 기후변화가 가져올 새로운 일상을 말할 때 뜬구름 잡는 이야기로 듣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현재의 상황을 경험하면서 new normal에 대해 각자 느끼는 바가 있을겁니다. 그 위험성을 체감하고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저는 온난화가 가져오는 기후변화가 인류를 절멸시킬거라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사람들이 겪어야 하는 불편이 일상이 되겠지만 잘 적응하고 더 악화되지 않도록 노력한다면 지구에서 한동안 더 살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다만 누군가에게는 생사를 가르는 큰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현 상황과 마찬가지로 그 대상은 사회적 약자에게 집중될 겁니다.

코로나19는 대응이 한 발 늦었습니다. 그 결과는 지금 뉴스에 나오고 있습니다. 이렇게 큰 위협이 될 줄 알았다면 발병을 감지하자마자 할 수 있는 조치는 다 취했겠죠. 다시 이야기를 바꿔서, 기후변화의 위협에 대해서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나요.

이번에 세계기상기구에서 내놓은 보도자료에서 ‘앞으로 5년 내에 온난화가 1.5도 이상 넘어가는 해가 기록될 가능성이 40%’라고 합니다. 5년 동안 쭉쭉 올라갈거라기 보다는 피크를 칠 것 같다는 의미입니다. 40%라는 수치가 작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만, 역사상 최고점을 찍을 가능성은 90%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1981-2010년 대비 2021-2025년 기온 변화 예측(왼쪽 그림) 및 평균값보다 높을 확률(오른쪽 그림; 1에 가까울 수록 확실시 된다는 의미) (출처: WMO 보도자료, 하단 링크 참조 )


위협이라는게 그렇지 않나요. 닥치기 전까지 그 크기를 확정하기 어렵습니다. 위협이 되는게 확실한지도 의문이지만, 무엇에 위협이 될 것인지도 잘 모르기 때문입니다. 코로나19 백신을 맞고 99% 이상 큰 문제가 없없지만 생명에 지장을 줄 수 있는 심각한 부작용사례가 나타나면서 접종을 거부하는 사람들도 나타났습니다. 이런 경우에 1%가 안되는 숫자도 작은 숫자가 아닙니다. 저 위의 40%는 (예측 확률이기 때문에 관측된 확률과 직접 비교하기는 어렵습니다만 대비 측면에서) 작은 숫자일까요?

1.5도가 넘어간다고 당장 세계가 마비되는 수준의 피해가 발생한다거나 이전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없는 상황이 될거라고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여러가지 의견이 있겠습니다만, 이것을 마지노선으로 여기기에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인류가 정한 하나의 저지선으로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1.5도를 넘어가는 상태가 new normal이 되었을 때 해양과 대기로부터 인류에게 각종 위협이 다가오리라는 연구결과는 많습니다. 연구자들은 이로 인한 피해를 걱정하고 있는데요, 불확실한 미래가 더 큰 걱정입니다.

최전방에서 후퇴하여 방어선을 구축했는데, 다 구축하기 전부터 뚫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을 예견하게 됩니다. 하지만 더 후퇴하면 크던 작던 피해를 볼 것이고 다시 전선을 복구할 수 없을지도 모릅니다. 뚫려도 회복이 가능한 범위를 잘 모르는거죠. 이런 상황이라면 이것이 최종 저지선이라는 태도로 대응할 수 밖에 앖을것 같습니다.

최근에 온실가스 저감 이슈가 집중조명을 받고 있습니다. 다행입니다만 현실적으로 보면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보고 미리 적응을 준비하는 데에도 충분히 자원을 할애해야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대응하려면 어떻게 변할지 예상해야 하니까 기초연구도 홀대하지 않으면 좋겠습니다.

(참고: WMO LC Annual-to-Decadal Climate Prediction )

대기 자료 표출에 이용되는 GrADS (cola.gmu.edu/grads/downloads.php), 2.2.1 버전 Mac용  배포판(binary builds)을  실행시키면 라이브러리를 제대로 찾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dyld: Library not loaded: /Users/jma/grads/supplibs/lib/libpng15.15.dylib

배포판을 빌드할 때 절대경로로 라이브러리를 참조하면서 생긴 문제인듯 하다. 다음과 같이 바이너리가 참조하는 라이브러리 경로를  확인해보면 다른 라이브러리들에도 문제가 있는걸 확인할 수 있다.

otool -l ./grads-2.2.1/bin/grads

 

나는 소스 가져와서 직접 빌드하는게 더 귀찮을것 같아서 하나씩 경로를  바꿨다...

export PATH_SUPPLIBS="GrADS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은 supplibs 디렉토리"

install_name_tool -change /Users/jma/grads/supplibs/lib/libncurses.5.dylib ${PATH_SUPPLIBS}/lib/libncurses.5.dylib ./grads-2.2.1/bin/grads
install_name_tool -change /Users/jma/grads/supplibs/lib/libpng15.15.dylib ${PATH_SUPPLIBS}/lib/libpng15.15.dylib ./grads-2.2.1/bin/grads
install_name_tool -change /Users/jma/grads/supplibs/lib/libz.1.dylib /usr/lib/libz.1.dylib ./grads-2.2.1/bin/grads
install_name_tool -change /Users/jma/grads/supplibs/lib/libhdf5.101.dylib ${PATH_SUPPLIBS}/lib/libhdf5.101.dylib ./grads-2.2.1/bin/grads
install_name_tool -change /Users/jma/grads/supplibs/lib/libnetcdf.7.dylib ${PATH_SUPPLIBS}/lib/libnetcdf.7.dylib ./grads-2.2.1/bin/grads
install_name_tool -change /Users/jma/grads/supplibs/lib/libhdf5_hl.100.dylib ${PATH_SUPPLIBS}/lib/libhdf5_hl.100.dylib ./grads-2.2.1/bin/grads
install_name_tool -change /Users/jma/grads/supplibs/lib/libcurl.4.dylib ${PATH_SUPPLIBS}/lib/libcurl.4.dylib ./grads-2.2.1/bin/grads
install_name_tool -change /Users/jma/grads/supplibs/lib/libtiff.3.dylib ${PATH_SUPPLIBS}/lib/libtiff.3.dylib ./grads-2.2.1/bin/grads

문제 없이 잘 돌아가고는 있는데 공유하기에는 뭔가 개운치 않은 해결책이라서 그냥 혼자 쓰고 있었지만, 오늘 메일링리스트를 보니 한국분들 중에도 같은 문제로 고생하는 분도 있지 않을까 싶어서 간단히 정리하였다.

 

이 글은 2020년 12월 22일에 작성되었고, 아마도 이후에 수정된 배포판이 다운로드 웹사이트에 다시 올라오지 않을까 싶다.

세계기상기구 WMO에서 선정한 우수 날씨 앱(weather app)이 발표되었습니다. 총 118개 앱 중에서 부문별로 18개 앱이 수상하였습니다. 심사과정에서 예측성능은 고려되지 않고 정보 전달과 활용 측면에서 우수성을 판단한 것 같습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유명해진 노르웨이의 yr은 독창성 및 혁신 부문에서 수상했고, 미국의 windy는 야외활동 정보 부문에서 수상했습니다. 심사에 지원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우리나라의 날씨 앱은 명단에 없네요. 개인적으로는 영국 기상청의 날씨 앱이 군더더기 없어서 마음에 듭니다. 그리고 accuWeather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난잡하다는 느낌이 들었었는데, 이 부문에서 수상을 해서 의아하기도 하고 사람들이 보는 눈은 다 다르구나 생각했습니다.

 

수상 목록 일부를 발췌하여 정리해봤습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데이터 표출: AccuWeather (미국)

독창성 및 혁신: Yr (노르웨이)

개발도상국을 위한 정보전달: AirQo (우간다), Fiji Met Service (피지)

시민참여: Météo-France (프랑스)

위험경보: UK Met Office (영국, 공공부문), AccuWeather (미국, 민간부문)

농경 정보: Strawberry Advisory Service (미국)

야외활동 정보: Windy.app (미국)

 

자세한 정보는 다음 링크(영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public.wmo.int/en/media/news/wmo-announces-winners-of-weather-apps-awards-and-calendar-competition

 

WMO announces winners of Weather Apps Awards and calendar competition

The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has announced the winners of a new Weather Apps Awards competition and its annual Calendar competition at a ceremony highlighting the cutting edge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power and beauty of nature.

public.wmo.int

 

 

기후 연구그룹으로 아주 유명한 영국의 Hadley 센터와 국제기구인 IPCC 설립에 중요한 역할을 한 John Houghton 경의 부고 기사를 읽었다. 개인적으로는 정치적 수완가보다는 저자로서 이름이 익숙하다. IPCC 3차 WG1 (기후변화의 과학적 이해 부문) 보고서의 저자목록 첫번째에 있는 이름으로 익숙하기도 하고, 이 보고서에 대한 해설서라고 볼 수 있는 책 “Global Warming” (“지구 온난화의 이해”로 한글 번역됨)을 쓴 사람으로 기억하고 있었다.

 

책 Global Warming에서는 IPCC 보고서에서 인용된 그림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왜 중요한지 평이한 말로 설명하기 위해 많이 애쓰신게 보인다. 숫자는 매우 제한적으로 나오기 때문에 고등학교 수준의 물리 지식이 있다면 전체적인 흐름을 따라갈 수 있을거라 생각한다. 그런 면에서는 IPCC에서 만든 요약본(summary for policymakers 또는 technical summary)보다 낫다. 책에 나온 설명만으로 그림들을 온전히 이해하기는 어려움이 있겠지만, 다른 사람들한데 시켜봐도 이정도로 쉽게 설명하기는 쉽지 않을거다. 다만, 한글로 옮긴 책은 보지못해서 번역 품질이 어떤지 모르겠다.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서 연구실 모두가 2주 가까이 재택근무중이다. 평소에 재택근무나 디지털 노마드 같은걸 해보고 싶었으나 이렇게 강제로 하게 되니까 답답하기도 하다. 말이 좋아 재택근무지 연금 상태에 가까우니까. 그래도 종이 문서로 처리해야 될 일이나 전산실에 직접 가야 할 일이 생기면 다녀오고 있다. 어쨌거나 재택근무를 경험해보니까 기존에 퇴근 후 짬짬이 원격으로 작업하던것과는 달리 생활 패턴의 큰 흐름에 영향을 끼치는게 느껴진다.

일단 연속으로 일하는 시간이 길어졌다. 절대적인 업무시간이 늘어난게 아니라 끊김 없이 작업만 하는 연속성이 높아졌다. 타인에 의해 흐름이 끊기는 경우를 제외하고도 내가 스스로 뭘 마시려고 일어났다 앉았다 하거나 화장실을 왔다 갔다 하는 횟수도 줄어들었다. 집에서 시간을 보내게 되니까 미뤄 뒀던 책장 정리도 하고 거의 매일 버릴 물건들을 끄집어내고 있어서 총 업무시간은 줄어든것 같은데 왠지 뿌듯한 느낌이 들어서 걱정이다. 실제로는 찔끔 해놓고 혼자 좋아하면 안되는데.

단점이라면 하루의 리듬이 깨지고 있다는 점이다. 하루는 새벽까지 일하다가 다음날은 늦잠을 자기도 하고, 뭔가 하다보니 밥 때를 건너 뛰기도 하고, 밥 먹고 졸다가 저녁에 깨는 날도 있었다. 재택근무가 삶의 만족도를 높인다고 하는데 이런 식이라면 건강을 해칠것 같다. 재택근무를 하게 되면 스스로 시간과 공간을 제한하는 부분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지금은 시계에 알람을 맞춰 일하고 (난 원룸에 사니까) 책상은 일만 하는 장소로 만들려고 관계없는 물건은 치웠다. 효과가 있으면 좋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