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비중인 논문에 마지막으로 들어가면 좋겠다 상상했던 그림을 만들어보려고 거의 두 주 동안 엎치락 뒤치락 하다가 이래서는 스스로 정한 마감일을 넘기겠구나 싶어서 다시 글쓰기로 돌아왔습니다. 하지만 머리를 비우기가 어려워서 쓰다가 계속 멈칫거리게 되네요. 그래서 다시 책을 집어들었습니다. 논문 작성과 관련된 다른 책과 함께 사서 이것은 꽃아만 두었다가 오늘 펴봤습니다. (어디서 일 못하는 애들 특징 얘기할 때 비슷한 행동을 들었던것 같기는 한데 뭐라도 쓰지 않으면 계속 불안하니 마중물 느낌으로…)

글이 좋네요. 이런 종류의 책은 내용 좋아도 글빨이 안따라줘서 잘 안읽히는 것도 많았단 말이죠. 외부에서 자료를 끌어다 쓰면서도 논문투가 아니라 본인의 느낌 속에 잘 녹여내신것 같습니다. 여기에는 논문작성법에 대한 이야기도 잠깐 나오지만 그것이 주제는 아니고요, 연구자에게 논문은 어떤 의미인지 그리고 성과로서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논문이라는 것에 대해서 사람들이 잘 몰랐던 지난 이야기들이 주된 내용입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부분은 연구가 논문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저자의 경험담을 섞어서 쓴 대목입니다. 책의 앞 부분과 뒷 부분(특히 15장)에 나옵니다. 연구책임자급이 아니라면 대부분 위에서 준 주제를 놓고 연구하는 일이 본인 업무에서 가장 클텐데요, 처음에는 연구한 결과를 논문으로 만드는게 감이 잘 안잡힙니다. 저는 지금도 어렵습니다. 그래서 다른 분들도 어려워 한다니 위안이 된 것 같네요. 어려운 이유는 연구 내용을 그대로 정리한 보고서 형식의 글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여기저기서 주운 헝겊들을 다 풀어서 실오라기를 다시 한 줄기로 묶고 새로 직조한 천으로 옷을 한 벌 만드는 느낌입니다. 연구책임자가 이제 '정리'해서 논문을 내자고 했을 때 이런 과정을 이해하지 못하고 보고서처럼 정리를 해버리면 버림받고 맙니다.

 

주변 분들에게 주저자로 첫 논문을 어떻게 썼는지 종종 물어봅니다. 그림 빼고 글은 거의 다 지도교수님이 다시 쓰다시피 했다는 분도 있고, 그래도 방법이나 결과 부분은 본인이 쓴 내용이 많이 살아남았다고 하는 분도 있었습니다. 대체로 자력으로 쓰기는 어려웠다는 경험이었어요. 곱든 밉든 그래도 봐줄 사람이 있을 때 연습을 많이 해보는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이게 글쓰기 기법과는 또 다른거라서 글을 잘 쓴다는 분들도 어려움을 겪더라고요. 오히려 평소에 다른 글은 잘 못쓰는데 논문은 후루룩 내는 분도 봅니다. 논문에서 글맛은 우선순위가 아니라는 말입니다.

 

"과학자가 되는 방법"(남궁석 지음)은 이공계 대학원에 들어가기 전에 보면 좋을 책으로 추천하는데, 이 책은 입학 후 고군분투하고 있을 대학원생과 논문은 쓰고 싶은데 감이 안잡히는 분들에게 추천하고 싶습니다. 내 문제를 해결해줄 정리된 원리나 법칙보다 비슷한 문제에 대해서 남의 고민을 듣는게 더 도움이 되는 경우도 있더라고요. 저는 의생명 분야와 거리가 멀지만 분명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 Recent posts